본문 바로가기

Bible & Church/Theological Seminar

한국 장로교회 헌법의 정치체계에 관한 연구 韓國 長老敎會 憲法의 政治體系에 관한 硏究-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동측 헌법을 중심으로 -申 賢 澈1. 서 론 1.1. 연구목적 및 동기 교회는 교회로서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만약 교회가 그 정체성을 상실하면 그 순간부터 이미 교회는 교회가 아니며, 부패와 타락의 온상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교회역사가 증명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 장로교회도 부패의 길을 걷지 않기 위해서는 장로교회의 정체성을 확립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선교 2세기를 지나고 있는 한국의 장로교회는 그 본질에 있어서 장로교회의 모습을 상실하므로 많은 폐단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한국장로교회를 분열시켰고, 그 분열로 인해 105개가 넘는 교단으로 나뉘어졌고, 영적 감화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 한국 교회가 다시 한.. 더보기
안토니 후크마의 개혁주의 종말론 요약 개혁주의 종말론 요약 종말론이란 영어단어는 헬라어의 두 단어가 합쳐져 있는데(eschatos와 logos), “마지막의 일들에 관한 가리침” 이란 뜻이다. 관습적으로 종말론이란 개인과 이 세상에 관해서 장차 일어날 사건들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 책은 성경적 종말론이란 의미로 신자의 현재적 상태와 아울러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인 면도 포함하고 있다. 다라서 이 책은 시작한 종말론과 미래적 종말론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부는 시작한 중말론을 다루고 제2부는 미래적 종말론을 다룬다. 제1부 시작한 종말론 제1장 구약에 나타난 종말론 개관 자유주의적 전통에 서있는 학자들은 종종 구약에는 종말론적인 사고가 없다고 주장한다. 물론 구약의 저자들은 현재 우리들이 말하는 미래적 종말론이라고 부르는 그.. 더보기
성령신학의 현대적 의미 성령신학의 현대적 의미(최종호/부산신학교 교수) I. 들어가는 말 1. 성공회 신학자 John Macquarie는 "현대의 생명 있는 신학은 오늘 현재 인간 경험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한 바 있다. 우리가 사는 현대는 21 세기를 코 앞에 두고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기술 정보화시대, 시장경제체제 시대, 우주과학 시대, 미래화 시대, 지구촌 시대. 미래의 충격을 예고하는 지표들도 한 두가지가 아니다. - 인구 폭발, 핵 폭발, 자원고갈, 식량 절대 감소, 생태계 파괴, 지구멸망 등. 과연 성령신학이 현대에 의미를 줄 수 있을까?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때 성령신학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가? 도대체 성령신학이란 무엇인가? 2. 1983년 캐나다 벵쿠버에서 열린 WCC.. 더보기
깔뱅과 바르트의 성경해석방법 깔뱅과 바르트의 성경해석방법...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깔뱅(CALVIN) 1) 성서해석의 원리 2) 깔뱅의 말씀론 ㄱ. 설교된 말씀과 성령 ㄴ. 기록된 말씀과 성령 ㄷ. 예수 그리스도와 말씀 2. 칼 바르트(K. Barth) 1) 바르트 신학의 특징 2) 성서해석의 원리 3) 말씀의 3중직 ㄱ. 설교된 하나님의 말씀 ㄴ.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ㄷ.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 3. 깔뱅과 바르트의 성서해석관에 따른 연 속성과 불연속성 Ⅲ. 결 론 Ⅰ. 서 론 교회사의 입장에서 볼때 16세기에 일어난 종교개혁은 성서에 대한 새로운 의식을 가져다 주었다. “sola scriptura”이 한마디에서 중세와 16세기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즉, ‘성서를 볼때 어떻게 이해하느냐’ 라고 하는 관점은 성.. 더보기